상장예정주식
본문 바로가기

보험 이야기/변액보험

비과세 재형저축 VS 변액유니버셜적립보험 VS 변액연금보험

비과세 재형저축 vs 변액유니버셜적립보험 vs 변액연금보험  

 

 

 

오늘은 장기저축 상품인 변액보험과 재형저축의 차이점 및 장점 단점에 대해 포스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저금리 현상이 장기화 되면서 0.1%라도 이자를 더 주는 곳이 있다면 해당 금융상품 가입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에 정부에서 재형저축을 부활시켜 은행권에서 4~5% 정도의 이자를 수령할수 있도록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뭍지마 가입 양상에서 본인에게 재형저축이 적합한지를 꼼꼼히 따져보고 가입하자는 쪽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아래 장기성 금융상품인 변액유니버셜 적립보험과 재형저축을 비교할수 있는 이미지를 첨부해 드렸습니다.

 

 

 

1. 변액유니버셜적립보험 vs 재형저축 - 비교, 장점 단점 분석

 

 

 

① 비과세 - 변액적립보험은 10년 유지시 전액비과세 혜택이 있지만, 재형저축의 경우 7년~10년 유지시 부분비과세(4% 농특세납부) 입니다.

 

중도인출 여부 - 변액적립보험은 중도인출이 가능하지만, 재형저축은 불가능 합니다.(중도해지시 세금부과)

 

③ 기대수익률 - 변액적립보험(이하 VUL)은 대략 7% 정도(투자수익률), 재형저축은 3년간 4~4.5%(3년이후 변동이율로 부리됨)

 

④ 가입자력 - VUL은 가입자격에 제한 없지만, 재형저축의 경우 연소득 5천이하 근로소득자와 종합소득세 3천5백만원 이하인 자만 가입(주부나 학생은 가입 불가능)

 

⑤ 월 납입 한도 - VUL은 최대 3~4천 만원까지도 가능하지만, 쟇여저축은 연간 1천200만원(분기당 300만원)으로 제한됨

 

⑥ 계좌보유 한도 - VUL은 1인 다 계좌도 가능하며, 재형저축의 경우도 1인 한도내에서 여러개 통장 개설은 가능

 

⑦ 추가납입 한도 - VUL은 기본적립액의ㅣ 2배이내에서 가능하고, 재형저축은 한도내 자유적립 가능

 

⑧ 계약자 변경 및 증여 가능 여부 - VUL은 가능하지만, 재형저축은 두가지 모두 불가능

 

 

 

 

 

변액보험은 크게 연금수령을 위해 가입하는 변액연금보험과 10년 이상 저축을 위한 변액유니버셜적립 보험으로 나누어 집니다. 두 상품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에게 적합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두 상품의 차이점은 크게 4가지로 정리할수 있는데...

 2. 변액연금보험과 변액유니버셜보험의 차이점(4가지) 

 

 

 

 

 

 

3. 노후준비(연금마련)와 목돈마련(교육비)을 위해 변액보험이 좋은 이유

(5가지)

 

 

 

 

 

4. 보험사의 연금보험이 타사 금융상품(재형저축 등)과 비교해 좋은 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