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예정주식
본문 바로가기

보험 이야기/변액보험

내 연금보험 얼마나 준비해야 하나? 연금저축보험 변액연금보험 금리연금보험 추천

 내 연금보험 얼마나 준비해야 하나? 연금저축보험 변액연금보험 금리연금보험 추천

 

 

 

한국인들의 걱정거리 1위는 은퇴 후의 노후준비(41.1%)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어서 자녀교육 문제(31.9%), 일자리 퇴직 폐업(27.3%), 소득 및 생활비(24.9%), 건강 의료(23.6%), 가계부채(16.3%) 등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래 보건복지 방향설정과 정책개발에 관한 연구 보고서 2013.1.21 )

 

 

 

 

노후준비를 위해서 연금에 가입한 사람들은 자신이 가입한 연금에서 노후에 매달 얼마씩

 

연금을 받을 수 있는지를 걱정합니다.

 

[사례] 현명한 씨는 매달 33만원씩 연금저축보험에 가입해 있습니다.

 

 

35세부터 가입해서 납입기간은 15년입니다. 55세부터 연금 개시할 경우 매달 얼마씩 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요?

 

 

 

 

 

나는 얼마나 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

 

 

 

 

1. 적립금 계산

 

 

35세에 가입했기 때문에 연금 납입은 50세에 마무리됩니다. 15년 동안 매달 33만원씩 연금저축보험에 가입해서 연 5% 공시이율이 적용된다면 50세 되는 시점에서 약 8100만원의 적립금이 쌓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직 연금 개시하기까지는 5년 정도 더 남았습니다. 따라서 적립금 8100만원에 5년 정도(사업비 등을 공제하고 인플레이션을 연 3.6% 가정시) 실효이자가 붙는다면 55세 연금 개시 시점의 적립금은 약 9700만원 정도 됩니다.

 

 

 

 

 

 

2. 연금 수령 계산

 

① 일반 연금 수령(확정형)

 

 

개정 세법에 따라서 연금저축보험 적립금은 연금계좌로 들어가고 연금계좌에서 연금수령하는 경우 일반 연금은 15년 동안 나누어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매년 받은 연금은 약 810만원이고, 매달 68만원 정도의 연금 수령이 예상됩니다. 여기서 이율을 3.6%로 가정한 것은 공시이률 4.5%일때 사업비 등을 감안할 때 연금 수령액에 적용되는 실효이율은 적립금에 대해서 연 3.6%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입니다.

 

 

매달 35만원씩 연금을 붓고, 노후에 매달 68만원씩 연금을 받는다면 재테크 측면에서는 큰 이익이지요?

 

 

게다가 연금보험료를 납입하는 15년 동안 매년 400만원의 소득 공제로 두세달치 보험료를 세금에서 환급 받았다면 세테크 측면에서도 성공입니다.

 

 

하지만 아쉬운 것은 한달 68만원의 연금으로는 노후 대책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② 종신 연금 수령(종신형)

 

 

만약 세법에서 정한 종신 수령을 선택하고, 평균 기대수명이 80세라면 55세부터 약 25년 동안 연금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매년 받은 연금은 약 560만원이고, 매달 47만원 정도의 연금 수령이 예상됩니다.15년 동안 매달 33만원씩 연금을 붓고, 평균 기대수명까지 약 25년 동안 매달 47만원씩 연금을 받을수 있다면 재테크로서는 성공적입니다.

 

 

연금을 받을 때 연간 1200만원 한도를 충족시키므로 연금소득에 대해서 연 3%의 분리과세를 적용받는다면 세테크 측면에서도 성공적입니다.

 

 

한달 47만원의 연금으로는 노후 대책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 아쉬울 따름입니다.

 

 

 

 

 

 

 

3. 얼마나 연금을 더 들어야 할까?

 

 

예를 들어 매달 150만원의 연금을 받고 싶다면 종신 연금지급을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매달 100만원(=150만원-47만원) 정도 연금을 추가로 받도록 디자인하면 됩니다.

 

 

 

 

 

① 공시이율 연동형 연금으로 준비

 

공시이율 연동형 연금에 투자해서 9700만원의 적립금에서 매달 47만원의 연금을 수령했다면 매달 100만원씩 월세처럼 또박또박 연금으로 받기 위해서는 약 2억600만원의 적립금이 필요하고, 매달 84만원씩 투자하면 됩니다.

 

이 경우 25년이 지나면 원금이 모두 소진됩니다.

 

 

 

 

 

 

② 변액연금보험 펀드로 준비

 

변액연금보험 펀드에 투자해서 매달 100만원씩 월세처럼 또박또박 연금으로 받기 위해서는(연 7% 변액수익률 적용 시) 약 2억원의 적립금이 필요하며 10년 간 매달 60만원씩 투자하면 됩니다.

 

 

왜냐하면 2억원의 적립금에 변액보험 수익률 8%를 적용하면 사업비와 펀드 수수료등을 공제하고도 매년 1200만원 정도의 재테크 수익을 얻을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는 원금은 그대로 살아있고 재테크 수익만 가지고 연금을 지급하므로 나중에 2억원을 상속자금 자금까지 물려줄수 있습니다.

 

 

 

                            2011년 9월 ~ 2012년 8월 1년간 변액연금보험 수익률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