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보험 단점] 소득공제용 연금저축보험에 대한 오해들...
직장인이나 자영업자들이 연말에 소득공제를 목적으로 세제적격 상품인
연금저축보험을 가입합니다.
아시다시피 월 25만원씩 연 300만원을 납입하시면 연말정산시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수가 있는데요.
혜택은 아래와 같습니다.
직장인이나 자영업자들이 연말에 소득공제를 목적으로 세제적격 상품인
연금저축보험을 가입합니다.
아시다시피 월 25만원씩 연 300만원을 납입하시면 연말정산시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수가 있는데요.
혜택은 아래와 같습니다.
소득 금액에 따라 다르지만, 198,000원 ~ 1,155,000원의 세금 절감효과를 볼수가 있습니다.
이 연금저축보험에 대해 오해하기 쉬운 부분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지금 당장은 비과세 연금보험보다는 소득공제 받는 금액이 커 보일수도 있습니다.
매년 위 금액만큼 연말정산시 혜택을 보기때문에 아무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비과세 연금보험보다는 장점이 많아 보입니다.
하지만, 소득공제혜택을 제외하고는 모든 경우에 세금이 발생합니다.
중도에 해지시나 일시금으로 받을 경우엔 비과세 연금보험보다 불리해 질 수 있으며,
연금수령시에도 세금을 공제합니다.
그래서 수입이 적어서 소득공제혜택을 많이 보지 못하는 경우나,
납입을 길게 할 수 없는 경우에는 10년이상 비과세 연금보험보다 손해가 될수도 있습니다.
요즈음은 가입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면 안되기때문에
5.5%의 세금공제에 대한 부분은 누구나 다 아는 부분일거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연금수령시 금융소득이 연 600만원이 초과되면
종합소득신고대상이 됩니다.
추가로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다른 연금보험도 금융소득에 해당이 되므로 대부분의 경우 연 600만원은 초과를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5.5%의 세금만 공제하는게 아니라 그 이상 세금을 공제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
(현재 적용사항이므로 추후 정책변경에 따라 변동될수도 있습니다.)
소득공제를 받기 위해 월 25만원을 가입하는데,
연금보험을 여러상품으로 가입하기 싫어 아예 연금저축보험으로만 모든 노후준비를
끝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금저축에 80만원을 가입했을 경우 25만을 초과하는 55만에 대해서는 세금이 없다고
생각하실 겁니다.
또 25만원의 원금에 대해서도 세금이 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겁니다.
초과분에 대한 원금에 대해서만 세금이 부과가 안되므로
연금저축을 가입할 계획이시라면 월 25만원 초과해서 가입을 하면 손해를 봅니다.
이러한 부분때문에 나에게는 연금저축보험을 가입을 해야 하는 것인지
비과세 연금보험으로만 준비를 하는게 이득인지 잘 따져보고 가입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보험은 목적에 맞게 가입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노후준비를 위해 연금저축보험, 연금보험, 변액연금보험의 가입을 계획중이시면
1:1 전문 컨설턴트와의 상담을 받으세요.
아래 상담신청을 남겨주시면 각 상품별 자세한 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연금저축보험에 대해 오해하기 쉬운 부분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 연금저축보험이 비과세보다 유리하다?
지금 당장은 비과세 연금보험보다는 소득공제 받는 금액이 커 보일수도 있습니다.
매년 위 금액만큼 연말정산시 혜택을 보기때문에 아무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비과세 연금보험보다는 장점이 많아 보입니다.
하지만, 소득공제혜택을 제외하고는 모든 경우에 세금이 발생합니다.
중도에 해지시나 일시금으로 받을 경우엔 비과세 연금보험보다 불리해 질 수 있으며,
연금수령시에도 세금을 공제합니다.
그래서 수입이 적어서 소득공제혜택을 많이 보지 못하는 경우나,
납입을 길게 할 수 없는 경우에는 10년이상 비과세 연금보험보다 손해가 될수도 있습니다.
★ 연금수령시 5.5%의 세금만 공제한다?
요즈음은 가입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면 안되기때문에
5.5%의 세금공제에 대한 부분은 누구나 다 아는 부분일거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연금수령시 금융소득이 연 600만원이 초과되면
종합소득신고대상이 됩니다.
추가로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다른 연금보험도 금융소득에 해당이 되므로 대부분의 경우 연 600만원은 초과를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5.5%의 세금만 공제하는게 아니라 그 이상 세금을 공제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
(현재 적용사항이므로 추후 정책변경에 따라 변동될수도 있습니다.)
★ 연금저축보험에 25만원 이상을 납입하면 초과분에 대해서는 세금이 없다?
소득공제를 받기 위해 월 25만원을 가입하는데,
연금보험을 여러상품으로 가입하기 싫어 아예 연금저축보험으로만 모든 노후준비를
끝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금저축에 80만원을 가입했을 경우 25만을 초과하는 55만에 대해서는 세금이 없다고
생각하실 겁니다.
또 25만원의 원금에 대해서도 세금이 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겁니다.
<연금저축보험의 중도해지시 및 연금수령시 과세대상은?>
①25만원 원금 ②25만원에 대한 이자 ③ 초과 55만원 원금 ④ 55만원에 대한 이자
이렇게 4종류로 나눠서 볼수가 있는데, 여기서 과세대상은 ① + ② + ④ 입니다.
①25만원 원금 ②25만원에 대한 이자 ③ 초과 55만원 원금 ④ 55만원에 대한 이자
이렇게 4종류로 나눠서 볼수가 있는데, 여기서 과세대상은 ① + ② + ④ 입니다.
초과분에 대한 원금에 대해서만 세금이 부과가 안되므로
연금저축을 가입할 계획이시라면 월 25만원 초과해서 가입을 하면 손해를 봅니다.
이러한 부분때문에 나에게는 연금저축보험을 가입을 해야 하는 것인지
비과세 연금보험으로만 준비를 하는게 이득인지 잘 따져보고 가입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보험은 목적에 맞게 가입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노후준비를 위해 연금저축보험, 연금보험, 변액연금보험의 가입을 계획중이시면
1:1 전문 컨설턴트와의 상담을 받으세요.
아래 상담신청을 남겨주시면 각 상품별 자세한 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상품의 선택도 중요하지만, 각 회사별로 비교해 가장 좋은 상품을 가입하는건 더 중요합니다.
일반분들이 전문분야가 아닌 보험상품을 비교한다는건 아주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에
경력이 많은 보험전문가에게 상담을 받는게 좋습니다.
좋은 상품 가입하셔서 노후준비 잘하시기 바랍니다.
일반분들이 전문분야가 아닌 보험상품을 비교한다는건 아주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에
경력이 많은 보험전문가에게 상담을 받는게 좋습니다.
좋은 상품 가입하셔서 노후준비 잘하시기 바랍니다.
'보험 이야기 > 연금저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년 12월 금리] 보험사별 12월 적용이율 (2) | 2010.12.02 |
---|---|
[10월금리] 보험사별 10월 적용이율 (0) | 2010.10.11 |
[저축보험/연금보험비교] 노후준비로 연금보험을 할까? 저축보험을 할까? (0) | 2010.09.13 |
[연금보험비교사이트] 연금보험 가입시에는 비교해서 가입하세요..^^ (0) | 2010.09.02 |
[9월금리] 보험사별 9월 적용이율 (0) | 2010.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