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정장코디법/넥타이/커프스버튼/시계/벨트/구두 코디법 추천]
남성정장 잘 입는 법, 남자양복 코디법
직장다니시는 남성분들 정장을 입으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우리나라 남성 정장 패션 점수는 평균 40점이라고 합니다.
양복,정장을 입으실 때 대충 입으시거나,
기혼자분들은 배우자의 코디대로 입으시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양복도 잘 입으면 아주 멋있는 센스쟁이로 거듭 나실 수 있습니다.
멋진 몸짱이어야 양복도 잘 어울릴까요?
얼굴도 멋져야 양복도 멋져 보일까요?
아닙니다! 코디만 잘하면 멋진 남성 이미지를 가지실 수 있습니다.
백화점의 비싼 양복이라고 멋있어 보이는 건 아닙니다.
할인점이나 상설할인매장에서 저렴하게 구입한 정장도
잘 코디만 하면 멋진 스타일로 변신할 수 있습니다.
멋진 남성으로 거듭나실 수 있도록 정장 코디법에 대해 몇가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너무 헐렁한 양복은 자제!
너무 크거나 조금 커보이는 양복은 불편하기도 하고 품위가 떨어져 보입니다.
양복이 조금 커보이면 남한테 얻어 입은 듯한 느낌도 나고,
전형적인 아저씨 같아 보여 남에게 호감을 얻기가 힘들어 보입니다.
위 사진을 보니 어떠신가요? 같은 사람인데, 전혀 다른 느낌이 듭니다.
왼쪽은 양복이 커서 조금 촌스러운 느낌이 많은 반면,
오른쪽은 굉장히 세련된 도시적인 느낌이 납니다.
머리스타일도 그대로구, 단지 양복만 바꿨을 뿐 입니다.
(옷이 날개란 말이 맞는 것 같습니다.^^)
정장 상의는 단추를 채우고, 주먹하나정도 들어갈 정도의 여유가 있으면 좋습니다.
너무 꽉끼는 양복도 자제 해 주세요.
너무 타이트한 양복도 초라하고 궁색하게 만들며, 행복하기에도 불편합니다.
얼마전에 젊은 분들을 중심으로 이런 꽉끼는 정장 스타일이
유행을 한적이 있던거 같은데, 요즈음은 잘 안 보이는 것 같습니다.
위와 같은 손가방도 자제 해 주시구요.(무슨 업자 같잖아요...^^)
통이 큰 바지는 내 스타일에 맞게
바지 아랫부분의 통을 크게 입는 것도 유행을 한적이 있었습니다.
주로 영업사원들이 많이 선호 했었던 것 같습니다.
어떤분은 멋져 보이기도 하고, 어떤분은 이상해 보이기도 합니다.
데이비드 베컴 정도야 뭘 입어도 멋있어 보이지만,
통이 넓은 바지를 입으려면 조건이 있습니다.
- 기준은 없지만, 키가 커야 합니다.
- 마른체형이 좋습니다.
- 다리가 길어야 합니다.
키가 작은편이거나, 살이 조금 찌신분들이 통이 넓은 바지를 입으면
너무 뚱뚱해 보일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바지의 길이
바지의 길이는 너무 짧게 입으면 생뚱맞아 보입니다.
주로 정장 바지를 짧게 입는 스타일로 나옵니다.
송일국씨야 멋지지만, 저런 패션으로 다니면 조금 이상할 꺼 같은데요..
그러면, 바지가 접혀 오히려 다리가 휘어보이는 역효과가 있습니다.
밑단은 구두등을 살짝 스치는 정도가 가장 무난합니다.
하단을 접는 카브라는 넣어도 되고, 개인취향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흰색양말은 절대 절대 금지 입니다..
정장의 단추는 어떻게? 잠글까? 몇개를 잠가야 하나?
정장의 단추를 잠그고 풀르는거야 보인 맘이지만,
단추를 잠그면 좀 더 단정해 보입니다.
중요한 손님을 만나는 순간이나 예의를 차릴 때, 단정해 보여야 할 때는
잠시라도 잠그는 게 좋습니다.
그럼, 3버튼, 2버튼, 1버튼 등 단추의 갯수도 틀린 데 어떻게 잠궈야 할까요?
아니면 하나만 채우시려면 가운데 단추만 채우셔도 무난합니다.
주의 할 점은 조금 타이트한 양복을 입고 가운데 하나만 채우실 때는 단추를 기준으로
위아래가 벌어져 보일 수 있으므로 주의 해야 합니다.
더블정장은 어떤지 볼까요?
요즘은 젊은분들도 입어도 멋져 보입니다.
더블정장의 단추는 항상 채우는 게 멋있어 보입니다.
와이셔츠는 어떤 스타일로?
정장 상의와 하의에 대해서 거의 완성이 된 것 같고,
셔츠는 어떤걸로 입는게 좋은 지 보겠습니다.
위에는 모델이니 멋있어 보이지만, 검정색이나 어두운색의 셔츠는 나를 더 어둡게 만들고
단정해 보이지가 않습니다.
카라와 소매는 종류가 다양하게 나오고 있으니,
본인 스타일에 맞게 선책을 하되
너무 튀는 것은 삼가해야 겠습니다.
소매의 끝은 팔을 내렸을 때 소매가 2cm 정도가
보이는 게 제일 좋습니다.
백화점에서 판매하는 비싼 셔츠도 좋지만,
추천하는 셔츠는 맞춤을 추천 합니다.
맞춤셔츠는 나의 몸에 맞춰서 제작을 하기 때문에, 커 보이거나 작아보이는 단점이 없습니다.
카라와 소매는 본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을 할 수도 있고,
원단도 내가 원하는 색이나 무늬로 선택을 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소매에는 내 영어 이름으로 이니셜을 새기기도 합니다.
맞춤셔츠점 한군데를 단골로 해 놓으면 내 사이즈를 보관해줘서
셔츠를 맞출때마다 사이즈를 재는 불편함이 없고, 원단도 인터넷 사이트에서 직접 선택해
직접 가게에 들리지 않아도 원하는 와이셔츠를 집에서 받아 볼 수 있습니다.
가격은 2~5만원 정도로 비교적 백화점보다 저렴한 편 입니다.
기타 악세서리들
-
커프스단추
커프스 단추를 하면 품위있어 보이고, 고급스러운 멋을 낼 수 있습니다.
일반 와이셔츠도 커프스 버튼을 할 수 있게 구멍이 나 있지만,
그런 셔츠에 커프스 버튼을 하는 것보다는 와이셔츠 제작시 커프스 버튼 전용으로
소매를 제작 하는 게 좀 더 세련되 보입니다.
커프스 버튼은 종류가 워낙 많습니다.
이런건 너무 비싸서 저는 할 일이 없을 것 같습니다.
-
넥타이
넥타이의 길이는 허리 벨트를 약간 가리는 정도가 가장 보기 좋습니다.
너무 짧거나 길게 매지 않도록 주의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타이의 색깔은 와이셔츠와 맞춰서 입으시면 됩니다.
주의할 점은 와이셔츠가 진한 스트라이프일 때 타이도 진한 스트라이프는 피해 주세요.
보는 사람의 눈이 혼란스러워 보입니다.
스트라이프 와이셔츠를 입었을 때는 단색 계열로 타이를 하시면 좋습니다.
와이셔츠가 단색이면 넥타이가 화려해도 좋구요.
저는 주로 밝은색을 선호하는데요.
밝은 색 타이를 하면 산뜻하고 화사한 이미지를 줄 수 있고,
빨강색등 강렬한 색상은 강하고 깊은 이미지를 심어 줄 수 있습니다.
좋아하는 색상으로 선택을 하시면 되는데,
이왕이면 어둡고 칙칙한 색깔 보다는 밝고 화사하게 포인트를 주세요..^^
참고로, 정장 상하의, 와이셔츠, 넥타이 모두 합쳐 3가지 색상을 넘으면 안됩니다.
-
벨트
벨트는 화려한 디자인 보다는 깔끔하고, 단순한 디자인이 좋습니다.
벨트의 길이는 끝에서 2~3칸정도로 채울 길이가 적당합니다.
명품은 비싸서 못하지만, 명품스타일로 나온 벨트들이 많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도 명품다운 멋을 낼 수 있습니다.
-
구두
구두는 주로 검정구두를 가장 많이 선호 하시는 것 같지만,
다양한 디자인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갈색구두도 잘 코디하면 세련된 이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검정색이나, 남색 양복과 코디하면 더욱 세련된 이미지를 줍니다.
색은 밝은 색보다는 어두운 브라운 계열의 구두를 추천 드립니다.
갈색구두가 너무 밝으면 구두만 튀어보이는 단점이 있습니다.
구두와 벨트의 색깔을 맞추는 것도 잊지 마시구요..
구두를 신을때는 깔끔하게 잘 닦아서 신으세요.
(신발을 보면 그 사람의 성격도 볼 수 있다고 하잖아요.)
-
시계
손이나 목에 차는 악세서리를 싫어하시는 남자분들이 많으신데요.
시계하나 잘 선택하면 고급스런 이미지를 UP 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시계가 시간을 보기의 목적보다는
패션을 위한 코디로 더 많은 활용을 하는 것 같습니다.
여름엔 금속줄이 좋고, 겨울에는 가죽줄이 좋겠습니다.
여름에 가죽줄 시계를 차면 땀 냄새가 배서 깝깝합니다.^^
시계도 양복이나 넥타이, 구두 등의 색깔에 맞춰서 코디하면 좋겠습니다.
이상 남성분들 양복,정장 코디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많은 도움이 되셨습니까?
너무 무리하게 투자하지 마시고,
매월 수입의 5~10% 정도만 나에게 투자하는 셈치고 나를 가꿔 보세요.
즐거운 일들이 생길 겁니다.^^
자~ 이제 코디법 대로 한번 멋진 남성으로 거듭 납시다!!
'여러가지 이야기 > 패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픽시자전거] 싱글기어인 픽시자전거 공동구매 안내 (20) | 2010.05.03 |
---|---|
[패션시계] 연예인들은 어떤 패션 시계를 차고 TV에 나올까? (10) | 2010.04.21 |
[여성패션] 봄 코디를 어떻게? 남자가 본 여성 패션 스타일 (28) | 2010.04.15 |
[픽시자전거] 픽스드 기어 바이크 / 픽시자전거(Fixie Bike) 아시나요? (21) | 2010.04.12 |